주거지 단지와 도로 경계에 조성된 녹지대 라일락나무 가지에서 직박구리(제20 -14호)
가 둥지를 트는 중에 나의 눈을 피하지는 못했다.^^
지금은 내부 공사 중으로 산란은 못했다.^^
2020.5.13.(수)
내부공사 공정 90%진행중으로 산란은 아직
2020.5.16.(토)
직박구리가 둥지공사 완료하고 3개의 알을 포란중입니다.
2020.5.19.(화)
두산백과
직박구리
[- ]
참새목 직박구리과의 조류.
직박구리참새목 직박구리과. 몸길이 약 27.5cm. 잡목림이나 활엽수림이 등 나무가 있는 곳에 서식하며, 한국에서는 겨울에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새이다. 한반도의 중부 이남 지역에서 흔히 번식하는 텃새이다.
학명계문강목과멸종위기등급생활양식크기몸의 빛깔서식장소분포지역
동물 |
척삭동물 |
조류 |
참새목 |
평가불가 |
암수 함께 생활(여름철), 무리 생활(이동할 때). 1회에 4~5개의 알을 낳음 |
약 27.5 |
잿빛을 띤 어두운 갈색 |
잡목림·낙엽활엽수림·관목림 |
구북구(동부)·한국·일본·타이완·루손섬 |
몸길이 약 27.5이다. 몸 전체가 잿빛을 띤 어두운 갈색이다. 머리는 파란빛이 도는 회색이고 귀 근처의 밤색 얼룩무늬가 두드러진다. 무리를 지어 시끄럽게 지저귀는데, 울음소리가 음악적이고 특히 한국에서는 겨울에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새이다. 한반도의 중부 이남 지역에서 흔히 번식하는 텃새이다. 겨울에는 보통 평지로 내려와 마을 부근 나무에서 3∼6마리씩 무리를 짓는다. 여름철에는 암수 함께 살고 이동할 때는 40∼50마리에서 수백 마리에 이르는 큰 무리를 지을 때가 있다. 주로 나무 위에서 살고 땅 위에 내려오는 일은 거의 없다. 날 때는 날개를 퍼덕여 날아오른 뒤 날개를 몸 옆에 붙이고 곡선을 그리면서 날아간다. 날 때에도 잘 울며 1마리가 울면 다른 개체가 모여들어 무리를 짓는 습성이 있다.
잡목림이나 낙엽활엽수림 또는 키가 큰 관목림에 나무껍질과 뿌리를 가지고 둥지를 튼 뒤 5∼6월에 한배에 4∼5개의 알을 낳는다. 먹이는 겨울에는 주로 식물의 열매를 먹고 여름에는 동물성인 곤충을 잡아먹는다. 구북구 동부와 한국·일본·타이완·루손섬 등지에서 번식하며 북부의 번식 집단은 남쪽으로 내려가 겨울을 난다.
[네이버 지식백과][brown-eared bulbul] (두산백과)
'★ 자연 라이프 > 자연의 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멧비둘기(제20 -16호)포란중 (0) | 2020.05.23 |
---|---|
박새(제20 -17호)둥지속 들여다 보기 (0) | 2020.05.21 |
박새(제20 - 17호)가 부화하다 (0) | 2020.05.17 |
청둥오리 새끼 12마리 부화(제20 - 9호) (0) | 2020.05.15 |
멧비둘기(제20 - 16호) 알 2개 (0) | 2020.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