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연 라이프/자연의 소리

북한산 중턱에서 딱새둥지 발견

자연산 2018. 5. 28. 21:00
728x90

 

* 북한산에서 딱새둥지 발견(2018.5.28.)

참고로 일반적으로 뱁새가 정교하게 둥지를 만들고,

직박구리, 딱새, 비둘기 등은  둥지를 엉성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더라구요.^^  


 



 



 


딱새공부해 보세요

딱새

[daurian redstart]

요약 참새목 딱새과의 소형 조류.
딱새 수컷

딱새 수컷참새목 딱새과. 몸길이 약 14cm.

학명Phoenicurus auroreus
동물
척삭동물
조류
참새목
딱새과
멸종위기등급관심대상(LC : Least Concern, 출처 : IUCN)
크기몸길이 약 14cm
무게17~18g
몸의 빛깔잿빛이 도는 흰색(머리), 검정색(등), 붉은 갈색(아랫면)
생식1회에 5~7개의 알을 낳음
생활양식단독 생활
서식장소산지 또는 평지 숲, 농경지, 강변 잡목 숲
분포지역아무르·우수리·중국(북부)·한국
소리듣기

몸길이 약 15cm, 몸무게 17~18g이다. 수컷은 머리꼭대기에서 뒷목에 이르기까지 잿빛이 도는 흰색이고 멱에서 윗가슴에 걸쳐서는 어두운 검정색이다. 날개는 검정색이고 흰 얼룩이 있다. 아랫가슴에서 배 아래쪽은 붉은 갈색이다. 암컷은 온몸이 연한 갈색이며 날개에는 흰색 부분이 있다. 수컷은 일정한 지역에 텃세권을 갖고 생활한다. 지저귈 때는 꽁지를 위아래로 흔드는 버릇이 있다.

한국에서는 흔한 텃새이다.
번식기인 여름에는 깊은 산속에서만 볼 수 있지만 겨울에는 인가 근처나 시가지 공원에도 모습을 드러낸다. 나무나 바위, 절벽, 심지어 오래된 건물에도 둥지를 트는데, 둥지는 나뭇가지와 풀, 이끼류, 나무껍질 등을 사용하여 컵 모양으로 만들고 한 번에 5~7개의 알을 낳는다. 먹이는 곤충 이외에 식물의 씨앗이나 열매도 먹는다. 아무르·우수리·중국(북부)·한국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딱새 [daurian redstart] (두산백과)


 

* 열매가 커가는 팥배나무


 



 



 

* 북한산 사모바위 옆 라일락


 



 



 



 

* 북한산 자동기상관측장치(사모바위 인근 응봉능선에 있음)


 

* 북한산 종유석(석순) 응봉능선 위험구간 옆에 있음


 

* 북한산 응봉능선의 용트림바위(?)


 



 

* 붉나무


 

* 병꽃나무


 



 



 


* 제목 : 북한산에서 딱새 보금자리를 만나다

* 일시 : 2018.5.28.(월) 10:55 ~ 14:15

* 이동경로 : 맹꽁이 서식지 - 기자촌 배수지 -기자촌공원지킴터 - 향로봉 - 비봉 - 사모바위 - 응봉능선

                 - 응봉 - 진관공원지킴터 - 셋이서문학관 - 북한산둘레길 - 생태다리 - 북한산둘레길 -

                기자촌배수지 - 은평뉴타운 맹꽁이서식지 

* 걸은 거리 : 약 8km

* 기록 : 북한산 중턱 암벽 측면에 자연 현상으로 구멍이 생긴 곳에 딱새가 둥지를 틀기 시작하는

           현장을 발견하고 사진으로 담고 딱새가 둥지완성, 산란, 포란, 부화, 성장과정을 관찰하여

           기록으로 남겨보려고 준비하고 있다.(중략) ^^ 

728x90